MySQL 12

mysql 아키텍처

mysql 서버는 크게 mysql 엔진과 스토리지 엔진으로 구분 mysql 엔진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및 쿼리 요청을 처리하는 커넥션 핸들러와 sql파서 및 전처리기, 쿼리의 최적화된 실행을 위한 옵티마이저가 중심 sql 문장을 분석, 최적화 스토리지 엔진 디스크 스토리지에 저장하거나 디스크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부분은 스토리지 엔진이 전담 쓰기 또는 읽기를 요청 → handler 요청 , 여기서 사용하는 api → handler api mysql서버는 프로세스 기반이 아니라 스레드 기반 포그라운드 스레드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수 만큼 존재 백그라운드 스레드 innoDB 쓰기 작업은 지연 가능 읽기 작업은 지연 불가능!! 대부분 DBMS는 쓰기 작업을 버퍼링해서 일괄 처리하는 기능이 탑재돼..

책/real mysql 2021.12.21

mysql 및 maria db timezone 설정 변경 및 확인

일단 db설정하기 전에 리눅스 시간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눅스 CLI(Command-line Interface) 환경에서는 몇 가지 명령어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date -> 2021. 09. 28. (화) 10:52:04 KST timedatectl Local time: 화 2021-09-28 10:52:08 KST Universal time: 화 2021-09-28 01:52:08 UTC RTC time: 화 2021-09-28 01:52:08 Time zone: Asia/Seoul (KST, +0900) System clock synchronized: yes NTP service: active RTC in local TZ: no 이런식으로 나오게 됩니다. 리눅스에서 처음에 UTC 입니다. ..

데이터베이스 2021.09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