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 3

네트워크 정리(1)

https://balldev.tistory.com/33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네트워크 서로 다른 장비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때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데이터 송수신 네트워크는 계층 간 역할이 나누어져 있다. 상호 연결되어 있는 계층들에서는 인터페이스로 balldev.tistory.com 위는 네트워크를 간단하게 정리한 글이고 이것을 좀 더 자세하게 풀어보려고 합니다. 전체적인 flow 순으로 작성했습니다. 주소창에 url을 입력한다. url을 입력 → 해당 웹서버에 get요청 전달 → 요청 내용 해석 응답으로 html 파일이 반환 브라우저는 이 파일을 해석해서 파일 내에 추가 이미지나 스크립트 등이 포함돼있으면 웹 서버에 이들을 다시 요청합니다. ⇒ 이 때 요청과 응답에는 메세지 헤더(..

탄력적 IP

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서버를 구동시키면 ip가 나옵니다. (ec2인스턴스를 누르면 아래처럼 나옵니다.) 하지만 이 IP는 고정 IP가 아닙니다. 그래서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실행시키면 ip가 변경되어 있습니다. 중지하고 실행 할 때마다 ip가 변경되어 있으면 매우 귀찮은 일이 발생.. 그래서 탄력적 ip를 사용합니다. 하지만 사용하지 않더라도 과금이 발생 하므로 꼭 필요한 만큼만 생성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.. 생성하는 것은 쉽습니다. 탄력적 ip주소 연결을 누릅니다. 그리고 자신이 사용하는 인스턴스를 선택해주면 됩니다. 그러면 탄력적 ip가 생깁니다!! (저는 ec2인스턴스에 이미 spring boot를 실행시켰습니다.) 이렇게 탄력적ip에 들어가도 접근을 할 수가 있습니다.

aws 2021.10.17

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

네트워크 서로 다른 장비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때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데이터 송수신 네트워크는 계층 간 역할이 나누어져 있다. 상호 연결되어 있는 계층들에서는 인터페이스로 통신 장점: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, 상호 간에 내부 처리를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만 바꾸지 않으면 내부적인 처리를 마음대로 바꾸어도 됨. 단점: 오버헤드가 발생하여 성능이 떨어질 수 있음 OSI 7계층 P → D → N → T → S → P → A 프로토콜 컴퓨터가 서로 소통하기 위해 정한 규약 같은 계층 간의 약속 브라우저로 웹 페이지를 볼 때 HTTP라고 불리는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웹 페이지를 달라고 요청 TCP/IP 프로토콜 스위트 - 프로토콜 집합 인터넷의 발전과 TCP/IP 인터넷의..